[프로그래머스] Lv.2 리코쳇 로봇 - 파이썬(Python) 풀이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69199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문제 설명
리코쳇 로봇이라는 보드게임이 있습니다.
이 보드게임은 격자모양 게임판 위에서 말을 움직이는 게임으로, 시작 위치에서 목표 위치까지 최소 몇 번만에 도달할 수 있는지 말하는 게임입니다.
이 게임에서 말의 움직임은 상, 하, 좌, 우 4방향 중 하나를 선택해서 게임판 위의 장애물이나 맨 끝에 부딪힐 때까지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한 번의 이동으로 칩니다.
다음은 보드게임판을 나타낸 예시입니다.
...D..R
.D.G...
....D.D
D....D.
..D....
여기서 "."은 빈 공간을, "R"은 로봇의 처음 위치를, "D"는 장애물의 위치를, "G"는 목표지점을 나타냅니다.
위 예시에서는 "R" 위치에서 아래, 왼쪽, 위, 왼쪽, 아래, 오른쪽, 위 순서로 움직이면 7번 만에 "G" 위치에 멈춰 설 수 있으며, 이것이 최소 움직임 중 하나입니다.
게임판의 상태를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board가 주어졌을 때, 말이 목표위치에 도달하는데 최소 몇 번 이동해야 하는지 return 하는 solution함수를 완성하세요. 만약 목표위치에 도달할 수 없다면 -1을 return 해주세요.
제한 사항
- 3 ≤ board의 길이 ≤ 100
- 3 ≤ board의 원소의 길이 ≤ 100
- board의 원소의 길이는 모두 동일합니다.
- 문자열은 ".", "D", "R", "G"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빈 공간, 장애물, 로봇의 처음 위치, 목표 지점을 나타냅니다.
- "R"과 "G"는 한 번씩 등장합니다.
문제 풀이
1. R 위치 찾아서 BFS 시작
2. 4방 탐색 전, 출발 위치 저장
3. "D" 위치 또는 배열 경계까지 미끄러지기
4. 처음 방문하는 위치면 방문 체크 후 큐에 넣기
5. "G" 만나면 방문배열 값 리턴, 못 찾고 끝나면 -1 리턴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|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x = [1, -1, 0, 0]
dy = [0, 0, 1, -1]
def solution(board):
answer = 0
cnt = 0
visited = []
for _ in range(len(board)):
visited.append([0]*len(board[0]))
def BFS(x, y):
q = deque()
q.append((x,y))
visited[y][x]=1
while q:
x, y = q.popleft()
if board[y][x]=="G":
return visited[y][x]-1
# 미끄러지기
for k in range(4):
# 처음 위치 값 기억하기
nx, ny = x, y
while True:
nx = nx + dx[k]
ny = ny + dy[k]
# 장애물일 경우
if 0<=nx<len(board[0]) and 0<=ny<len(board) and board[ny][nx]== "D":
nx -= dx[k]
ny -= dy[k]
break
# 배열 경계일 경우
if nx<0 or nx>=len(board[0]) or ny<0 or ny>=len(board):
nx -= dx[k]
ny -= dy[k]
break
# 처음 방문하는 경우
if not visited[ny][nx]:
visited[ny][nx] = visited[y][x] + 1
q.append((nx,ny))
return -1
for i in range(len(board)):
for j in range(len(board[0])):
if board[i][j] == "R":
answer = BFS(j,i)
return answer
|
cs |
'🚀 PS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Lv.2 가장 큰 수- 파이썬(Python) 풀이 (0) | 2023.08.09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Lv.3 입국 심사 - 파이썬(Python) 풀이 (0) | 2023.08.09 |
[프로그래머스] Lv.2 멀리 뛰기 - 파이썬(Python) 풀이 (0) | 2023.08.03 |
[프로그래머스] Lv.2 가장 큰 정사각형 찾기 - 파이썬(Python) 풀이 (0) | 2023.08.03 |